본문 바로가기
건강

아이 성장통 증상별 병원이 꼭 필요한 상황과 집에서 할 수 있는 관리법

by income0807 2025. 8. 17.
반응형

 

성장기 자녀를 둔 부모라면 한 번쯤 “아이의 다리가 아프다”는 고민을 해보셨을 텐데요. 평소에는 멀쩡하다가 밤이 되면 갑작스럽게 다리나 무릎, 허벅지, 종아리 쪽을 아파하는 아이를 보면 성장통인지, 병원에 가야 하는 신호인지 헷갈릴 수밖에 없습니다. 이 글에서는 아이 성장통의 특징과 집에서 관리하는 방법, 그리고 반드시 전문 진료가 필요한 상황을 구체적으로 안내드립니다.

 

1. 성장통이란? 그리고 주요 증상

성장통(성장기에 나타나는 근육‧관절 통증)은 주로 만 3~12세 아이에게 흔히 발생합니다. 양쪽 무릎·허벅지·종아리 등 다리 부위에 통증이 오고, 낮보다는 저녁이나 밤에 심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아침이 되면 통증이 사라지는 것이 보통이며, 일상생활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근본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뼈와 근육, 힘줄의 성장 속도 차이, 피로, 유전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2. 집에서 관리할 수 있는 성장통의 특징

  • 대부분 양쪽 다리에 통증이 생긴다.
  • 밤에 더 심하고 아침에는 괜찮아진다.
  • 통증 부위에 눈에 띄는 부기나 발적, 열감이 없다.
  • 활동 후 통증이 심해질 수 있지만, 휴식하면 완화된다.

 

3. 이런 경우, 반드시 병원에 방문하세요!

  • 한쪽 다리만 심하게 아플 때
  • 아침에도 계속 아파하거나 절뚝거리며 걷는 경우
  • 통증 부위가 눈에 띄게 붓거나 빨갛게 변함
  • 만지거나 주물러주면 더 아파할 때(압통 동반)
  • 계속되는 열감, 발열이 동반될 때
  • 3주 이상 지속적으로 통증이 심하게 나타날 때
  • 아이의 걸음걸이가 눈에 띄게 변화할 때.

 

4. 집에서 할 수 있는 성장통 관리법

근육 마사지

통증 부위를 가볍게 마사지 해주세요. 무리한 힘 없이 ‘엄마 손은 약손’ 식으로 부드럽게 문질러주면 근육 이완 효과로 통증이 완화됩니다.

 

따뜻한 찜질·목욕

따뜻한 수건이나 스팀타월로 통증 부위를 찜질하거나, 따뜻한 물로 목욕하면 혈액순환이 좋아져 통증이 줄어듭니다. 단, 온도는 미지근하게 조절해서 화상에 유의하세요.

 

스트레칭과 가벼운 활동

허벅지, 종아리 근육을 중심으로 가벼운 스트레칭을 시켜주면 근육의 긴장이 풀리고 성장판 자극에도 도움이 됩니다. 단, 과도한 운동이나 무리한 신체활동은 피하세요.

 

충분한 영양과 휴식

비타민, 미네랄 등 영양소가 풍부한 식사와 충분한 수면을 취하게 하고, 스트레스가 쌓이지 않도록 신경 써주세요.

 

통증이 심하면 진통제

통증이 심할 때는 이부프로펜, 아세트아미노펜 계열의 진통제를 일시적으로 복용할 수 있으며, 복용 전 용량과 방법은 의료진 또는 약사 안내를 반드시 따르세요.

 

5. 성장통과 병원 진료가 필요한 경우의 비교

구분 일반 성장통 특징 병원 방문이 꼭 필요한 경우
통증 부위 양쪽 다리에 주로 통증 한쪽 다리에 국한된 통증, 절뚝거림
통증 양상 주로 밤에 심하고 아침엔 호전 아침에도 통증 지속, 심하거나 점점 심해짐
부기, 발적, 열감 없음 통증 부위가 붓거나 빨갛게 변하거나 열감 동반
압통 (만졌을 때 통증) 없음 만지거나 눌렀을 때 통증 심해짐
지속 기간 보통 단기간(3주 미만) 3주 이상 지속되거나 점차 악화됨
기타 증상 활동 후 통증 심해지나 휴식 시 완화 발열, 걸음걸이 이상 변화 등 동반

 

 

 

6. FAQ

성장통은 아이의 성장에 나쁜 영향을 미치나요?

아니요. 성장통은 정상적인 성장 과정에서 나타나는 일시적인 통증입니다. 아이의 신체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으며, 대부분 자연스럽게 사라집니다. 적절한 관리로 통증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통증이 계속될 때 병원은 어떤 진료과를 방문해야 하나요?

보통 소아청소년과나 소아정형외과를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문의가 통증 원인을 정확히 진단하고 필요한 검사와 치료를 진행합니다.

 

성장통과 관련해 유전적 요인이 있나요?

연구에 따르면 성장통은 가족력과 어느 정도 연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부모 중 성장통을 경험한 사람이 있는 경우, 아이도 같은 증상을 겪을 확률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성장통은 왜 주로 밤에 심해지나요?

낮 동안 활동으로 인한 근육 피로가 누적되고, 밤에는 주의 분산이 적어 통증 인지가 커서 그렇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혈류량 감소도 영향을 줍니다.

 

7. 마무리

성장통은 정상적인 성장 과정의 일부이지만, 표시를 잘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심되는 증상이 있다면 망설이지 말고 전문의 진료를 받으세요. 간단한 관리법으로 아이의 통증을 효과적으로 줄이고, 건강한 성장의 길잡이가 되어줄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정형외과, 이대목동병원, 그리고 부천서울여성병원 등 국내 주요 전문 의료기관 및 실제 소아 진료 가이드라인을 근거로 작성되었습니다.

반응형